티스토리 뷰

오늘은 급여 세금 계산기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래간만에 상당히 힘들긴 했지만

재밌는 주말을 보냈답니다.


오늘부터 내일까지 쉬었으면

더 좋았겠지만요. ㅎㅎ

그래도 오늘만 버티면

내일 하루 또 쉴 수 있어

그나마 기쁘게 견디고 있습니다.


정말 봄이어서 그런지

춘곤증을 이겨내기가 요즘 힘드네요.

잠시 바람을 쐬고 와야 할 거 같아요. ^ ^



한국실업률이 1994년 IMF 이후 최고이며,

한국의 고학력 청년실업률은

OECD 국가 1위라고 하네요. ㅜㅜ


그리고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말들이 있는데

어떻게 정해질지 지켜봐야 할 거 같네요.


사회초년생이나 나이 드신 분들은

자신의 급여가 어떻게 계산되어

통장으로 입금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지금부터 급여 세금 계산기 활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연봉 실수령액은 물론

급여 실수령액까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 급여만 입력하면

실수령액과 공제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급여 275만원일 경우 공제되는 금액은

국민연금 123,750원, 건강보험 85,800원,

장기요양 6,330원, 고용보험 17,870원,

소득세 63,020원, 지방소득세 6,300원이며,

실수령액은 2,446,930원입니다.


- 급여 350만원일 경우 공제되는 금액은

국민연금 157,500원, 건강보험 109,200원,

장기요양 8,050원, 고용보험 22,750원,

소득세 142,220원, 지방소득세 14,220원이며,

실수령액은 3,046,060원입니다.


자신의 급여에서

얼마큼이 무슨 명목으로 빠지는지

알고 있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3월에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4월에 청구되었습니다.


따라서 4월분 급여를 받을 때에는

건강보험료 정산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급여 세금 계산기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