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경력계산기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년이 된지도 벌써 1달이 다 되어가네요.
내일부터 설 연휴에 들어간다니..ㅋㅋ
시간 정말 빨리 지나가네요.
날씨가 여전히 많이 춥네요
감기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미리 설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랄게요~!!
요즘은 평생직장이란 말 쓰나요?
옛날과 달리 평생직장이란 말이 없어진 지가
좀 된 거 같은데요.
저도 이미 벌써 2번째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데요.
횟수로 8년째 다니고 있지만
이직을 생각하지 않았던 건 아니랍니다.
그래도 오래 다녔죠? ㅎㅎ
요즘은 이직을 생각보다 많이 하더라구요.
물론 이직을 많이 하는 것도 능력이겠죠?
하지만 나이가 들면 들수록 꾸준히 다니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제 생각입니다. ^ ^
일단 어떤 이유로 인해 이직을 할 경우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경력증명서가 필요하죠?
그리고 이력서를 작성할 때
자신의 경력기간을 표기해야 하는데요.
일일이 계산하기 불편하고 번거롭다면
지금부터 설명드리는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지금부터 경력계산기 이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커리어 검색한 뒤 사이트에 접속해 주세요.
- 검색창에 경력계산기를 입력한 뒤 검색하세요.
- 총 경력 계산기 화면이 나오면
자신이 근무했던 재직기간을 입력하면
자신의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저는 지금 회사에 다닌 기간이
6년 7개월이 되었네요. ㅎㅎ
- 회사를 이직했다면 재직기간은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이겠죠?
추가 버튼을 클릭하셔서 재직 기간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총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이직을 여러 번 했다면
자신이 다닌 회사들의 입사, 퇴사 일자를
모를 수 있겠죠?
그럴 때는 건강보험 취득 확인서나
고용보험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하면 되구요.
요즘은 통장으로 월급이 들어오기 때문에
통장을 확인하셔도 입퇴사일자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여기까지 경력계산기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